Paper.Yellow
스프링부트로 테이블 생성하기 본문
위 두개를 붙이면 자바에서 엔티티를 만들면 테이블을 자동 생성해줌.
string은 기본적으로 255(varchar의 역할)
사이즈를 지정해서 늘려줄 수 있음.
import javax.persistence.Column;
import javax.persistence.Entity;
import javax.persistence.GeneratedValue;
import javax.persistence.GenerationType;
import javax.persistence.Id;
import lombok.Getter;
import lombok.Setter;
@Setter
@Getter
@Entity
public class Board {
@Id
@GeneratedValue(strategy = GenerationType.IDENTITY) // 해당 데이터 전략 따라감.
private Long id;
private String title;
@Column(length = 1000)
private String content;
private String author;
}
이제부터 배울 JPA에는 하이버네이트란 기술이 있다.
지금은 하이버네이트의 모든 기술을 알 수 없지만 우선 한가지 테이블 생성을 자동적으로 할 수 있다.
application.yml 파일 일부 수정
터미널 관련 가시성을 추가한 application.yml 코드
server:
port: 8000
servlet:
context-path: /
spring:
datasource:
url: jdbc:mariadb://127.0.0.1:3306/greendb
driver-class-name: org.mariadb.jdbc.Driver
username: green
password: green1234
jpa:
hibernate:
ddl-auto: none
properties:
'[hibernate.format_sql]': true
output:
ansi:
enabled: always
logging:
level:
'[org.hibernate.SQL]': DEBUG
#root: DEBUG
좀 더 알아보기
- 하이버네이트
'JP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PA 시간 관련 Entity 생성 (0) | 2022.12.05 |
---|---|
하이퍼네이트 초기설정 (0) | 2022.10.24 |
DB변경 - h2 > MariaDB (0) | 2022.10.21 |
새 프로젝트 시작, 스프링부트 JPA 세팅 (0) | 2022.10.21 |
Visual Studio Code - 기본 세팅 (0) | 2022.10.2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