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aper.Yellow
git 사용하기 본문
1. git 다운로드
2. 경로 지정하기
sts 또는 이클립스에서는 원하는 프로젝트 선택 후 Alt + Enter 하면 위에 창을 확인할 수 있다.
네모칸을 클릭하면 해당 폴더로 이동.
프로젝트 폴더로 이동한다.
git을 연결할 폴더에서 우클릭 Git Bash Here을 선택한다.
해당 폴더에서 터미널을 열어 볼 수 있다.
● 주로 쓰는 명령어
- git init - git 접속
- git commit - m [ 커밋 메세지 ] - git 저장
- git log - git 기록들
- git remote add origin [ 쉬프트 insert(컨트롤 +c,v 오류 날 수 있다.) / 본인 github 주소 ] - github 접속
- git remote remove origin - github 연결 끊기
- git push (origin 브런치이름 보통은 main 또는 master) - git 저장
● branch
- git branch 뒤에 입력값이 없으면 - branch 목록
- git branch [ 새로운 branch 이름 ] - 새branch 생성
- git branch -m [ 원래이름 바꿀이름 ] - branch 이름 변경
- git swich(또는 checkout) [이동할 branch이름] - branch이동
- (합칠 기준의 branch에서)git merge [합칠 branch 이름] - branch합치기
- git reset --hard [돌아갈 commit의 앞자리 3~4자리] - 지정 commit으로 돌아감
branch를 삭제하지 않았다면 다시 하면 됨 - git reflog - 삭제된 로그 경로 확인 가능. 삭제된 로그를 어쩔 수 없이 돌아갈 때만 사용. 가급적 사용 X
- clear 터미널 기록 초기화
- git reset --help - 웹페이지 이동해서 사용법 확인 가능
리눅스는 응답이 없으면 정상적으로 작동한거다.
개인적으로 처음 git 공부할때 도움이 되었던 강의
Yalco github 유튜브 강의 ↓
강의 소개
어려운 프로그래밍 개념들을 쉽게 설명해주는 유튜브 채널 '얄팍한 코딩사전'. 영상에서 다 알려주지 못한 정보들이나 자주 묻는 질문들의 답변들, 예제 코드들을 얄코에서 확인하세요!
www.yalco.kr